가스공사-도로공사, 수소/LNG 복합충전소 시범사업 추진
수소충전소 안전성 문제 여전
국내 수소충전소 안전 기술도 실증 단계

수소충전소 설립에 불이 붙었다. 정부의 '그린 뉴딜' 정책에 따른 수소경제 활성화 및 그린 모빌리티 확대에 발맞춰야 하기 때문이다. 다만 수소충전소의 안전성 문제는 여전히 변수다.

28일 한국가스공사와 한국도로공사는 전국 고속도로 화물차 거점 휴게소 3곳에 수소/LNG 복합충전소를 설치키로 했다.

수소/LNG 복합충전소는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는 승용, 화물, 버스 등의 차량들과 LNG를 연료로 사용하는 화물, 버스 등의 차량을 동시에 충전할 수 있는 모델이다.

가스공사가 복합충전소 건설 및 운영을 담당하고 도로공사는 국토교통부와 공동으로 충전소 부지 및 수소충전소 구축 지원금을 제공하는 형태다.

현대차의 수소전기차 모델 '넥쏘'(NEXO), 수소전기차는 수소와 산소가 반응해 만들어진 전기에너지가 인버터를 거쳐 모터를 구동시키는 방식이다./사진=현대차

이에 그간 지지부진 했던 수소충전소 인프라도 탄력을 받을지 주목된다.

정부 발표에 따르면 국내 수소충전소는 2018년 14개소에서 올해 9월 현재 43개소가 운영 중이다. 정부는 올해 말까지 86개소로 늘릴 계획이었지만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지난해 정부가 발표한 '수소경제 로드맵'에 따르면 수소 모빌리티의 경우 2022년 수소차(승용차, 버스) 8.1만대(내수 6.7만대), 2040년 620만대(내수 290만대) 이상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수소차 보급을 위한 관련 인프라 확대도 추진 중이다. 2022년까지 전국에 수소충전소를 310개소로 늘리고 2040년까지 1200개소 이상 확보하는 계획을 세웠다.

다만 현재 40개 남짓한 수소충전소의 목표량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갈 길이 먼 상황이다.

무엇보다 안전성 확보가 관건이다. 정부의 수소차 지원 정책에도 불구 수소충전소의 안전성에 대한 불안은 여전하다.

지난해 5월 발생한 강릉 수소탱크 폭발 사고도 뼈아팠다. 태양광, 풍력과 연계한 수전해기술 실증 과정에서 발생한 폭발 사고로 8명의 사상자와 340억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했다. 수소충전소를 둘러싼 도심지역 주민들의 반발이 거셀 수밖에 없는 이유다.

이번에 가스공사와 도로공사가 고속도로 화물차 거점에 복합충전소를 시범 설치키로 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양 기관은 복합충전소 구축을 위한 사업 검토에 착수할 계획이지만 결과는 미지수다.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을 경우 사업 차질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산업부는 액화수소 및 액화충전소 보급 계획을 추진 중이다./이미지=산업부

이달 15일 '수소경제와 한국의 수소기술' 심포지엄에서 산업통상자원부 최연우 신에너지산업과 과장은 "수소 유통을 위한 액화수소 및 액화 충전소 보급 계획을 추진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수소/LNG 복합충전소 역시 액화수소에 초점을 두고 있다. 액체수소는 기체수소에 비해 안전하고 운송비용도 1/10 수준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국내 액화수소 관련 기술 인프라가 부족한 것이 문제다. 정부의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에서도 액화수소 기술의 국산화를 중점 추진 과제로 거론할 정도다.

산업부도 '2020 에너지 기술개발 실행계획'에서 수소 연료전지 관련 기술개발에 932억원을 투입키로 했다. 동시에 안전성 확보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하지만 수소충전소 관련 국내 안전 기술은 실증 단계에 불과하다. 이제 막 수소충전소 법정계량 표준모델 실증을 시작한 단계다.

수소충전소 고장진단 시스템 및 안전관리 기술 과제에 120억원 상당을 투입할 예정이지만 60개월 이상 소요될 예정이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2025년까지 전국 주요 물류거점에 수소/LNG 복합충전소 30개소를 건설할 계획"이라고 밝혔지만 현 상황에서 그리 낙관적으로 보이지 않는다.

에너지 분야 컨설팅 업체 관계자는 "수소차는 물론 수소충전소의 안전성 확보가 선행돼야 한다"라며 "안전성 검증을 위한 연구과제를 비롯해 해외 선진국들과의 기술 협력 등 다각적인 접근을 시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산경e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