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총리 위원장으로 한 수소경제위원회 출범
첫 회의 산업부, 기재부, 환경부 등 7개 부처장관 참석

▲ 1일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정세균 국무총리(위원장), 산업부, 기재부, 과기부 등 7개 부처 장관과 민간 위촉위원 등 관계자 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1회 수소경제위원회가 열리고 있다.

대한민국이 경제산업 분야에서 전세계 1위(퍼스트 무버, First Mover)를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면 그것은 수소경제일 가능성이 높다고 전문가들은 예견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이 전기차보다 수소차에 집중하는 이유다.

수소경제는 비단 자동차만의 문제가 아니다. 연료전지, 재생에너지 그린수소 포집, 수소융합 등 에너지-환경-교통-건축 등 전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수소융합얼라이언스 등 수소경제를 리딩할 정책분야를 움직여온 정부가 범부처를 포괄한 수소경제 컨트롤타워를 가동하기 시작했다.

수소경제 컨트롤타워는 2040년까지 1000개의 수소 전문기업을 육성해 그린 수소 조기 활용 기반 조성, 2030년까지 수소차 85만대, 수소충전소 660기 확충, 3기 신도시 중 2곳 내외를 수소 도시로 추가 조성하고 수소 산업진흥-유통-안전 전담기관 지정으로 체계적 수소경제 지원, 전세계 수소경제 선도국가로 발돋움하기 위한 발판 구축 등을 집중적으로 추진하게 된다. 

정부는 1일 수소경제위원회를 출범하고 정세균 국무총리(위원장) 주재로 일산 킨텍스에서 제1차 수소경제위원회를 개최했다.

처음으로 산업부, 기재부, 과기부, 환경부, 국토부, 해수부, 중기부 장관 등 관계부처 장관이 회의에 참석했다.

민간에서는 위원으로 새로 위촉된 정의선 현대차 부회장, 채희봉 가스공사 사장, 김종남 에기연 원장 등 11명이 참석했다.

수소경제위원회는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8개 관계부처 장관과 산업계, 학계, 시민단체 등 분야별 최고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대한민국 수소경제 컨트롤타워로 우뚝서게 된 것이다.

간사기관은 산업부가 맡는다.

이날 위원회 개최에 앞서 정세균 국무총리는 각계 전문가와 관계부처의 추천을 받아 위촉한 정의선 현대차 수석부회장, 문일 연세대 교수, 이미경 환경재단 상임이사 등 11명의 수소경제위원회 민간위원에게 위촉장을 수여했다.

이날 열린 1회 수소경제위원회에서는 △수소산업 생태계 경쟁력 강화방안 △수소 기술개발 로드맵 이행현황 및 향후 계획(안) △수소차·수소충전소 추진성과 및 향후 계획(안) △수소도시 추진현황 및 확산전략(안) △수소경제 전담기관 지정(안) △수소경제위원회 운영세칙 제정(안) 등 6개의 안건을 심의, 의결했다.

정부가 내놓은 수소산업 생태계 경쟁력 강화 방안을 살펴보면 2030년까지 500개, 2040년까지 1000개의 수소 전문기업 육성을 위해 수소모빌리티, 연료전지, 액화수소, 수소충전소, 수전해 등 5대 분야에 수소 소재, 부품, 장비 프로젝트 추진 등 기반 조성에 집중함을 알 수 있다. 산업부가 간사기관으로 조율할 방침이다.

수소분야 우수 기술, 제품에 대해서는 지자체, 공공기관이 적극 구매할 수 있도록 혁신조달을 대폭 확대할 예정이다. 중기부가 전담하게 된다.

또한 340억원 규모의 수소경제펀드 등을 통해 신규 기업의 수소시장 진입을 촉진함으로써 수소 생태계에 활력을 제고할 계획이다.

지역별 수소생태계 육성을 위해서는 경남, 호남, 중부, 강원 등 4대 권역별로 중규모 생산기지를 설치하고 2025년까지 소규모 생산기지 40개를 구축하여 안정적인 수소공급 인프라를 마련할 방침이다. 

수소클러스터, 규제특구, 수소도시를 유기적으로 연계함으로써 지역 생태계를 속도감 있게 조성하겠다고 산업부는 밝혔다. 

지자체별로 수소경제 의지역량을 정기적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수소경제위원회에 보고하고 우수 지자체에는 정부사업 지원확대 등 재정적 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그린수소를 조기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제주도 풍력, 새만금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와 연계한 다양한 그린수소 실증사업을 추진하고 이를 바탕으로 2030년 100MW급 그린수소 양산 체제를 구축할 계획이다. 

수소 수요창출을 위해서는 그린수소 인증제, 재생에너지와 별도의 수소 의무사용제도(RPS) 도입 등도 중장기 검토사항으로 논의됐다.

지난 6월23일 출범한 그린수소 해외사업단을 통해 해외 그린수소 도입을 위한 민관 합동 실증 프로젝트도 본격 추진할 예정이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산경e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